xython (win32com + python)
xython - 패키지의 전체적인 용어 정의 (2025-03-16 update)
작성자
sjpark
작성일
2025-03-16 11:23
조회
22
xython에서 사용되는 일반용어에 대한것을 정의하는 것입니다
용어 | 용어의 사용 뜻 | 기타 |
**input_dic | 사전형식의 여러값이 들어올때 | |
*input_list | 몇 개의 자료가 올지 모를때 | |
0,0 | 왼쪽아래 | 영역에서는 모든것을 뜻함 |
56color | 엑셀의 기본 56가지색 | |
action_name | action id를 이렇게 말하자 | |
add | 기존에 있는것의 일반적인 끝에 넣는 것 | 기존것에 추가하는 것 |
all | 가능하면 all이란 단어를 사용, all + 대상물 | 복수의 개념 |
append | 맨끝에 추가할 때 | 새로운 같은 형태를 추가하는것 |
by_limit | 번호가 들어가 그때까지 적용 | |
by_step_번호 | 번호가 들어가 그 간격으로 실행될 때 | |
change | 무엇인가 바꾸기 위한 목적 | 전체를 변경 |
char | 공백도 1개의 글자임 | |
check | 어떤 값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목적 | |
clear_x | 값만 삭제하는 기능이며, db의 경우는 None으로 변경되는 것이다 | clear +x=> delete +value |
color | ||
color_style | 파스텔 톤과 같은것 | |
ComputeStatistics | 워드에서 특정 텍스트나 문서 전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 | |
control | 입력으로 들어오는 값의 형태는 같으면서, 조건에따라서 변경을 하는것 | 어느 영역안에서 조정을 할 때 |
cpx | 셀의 좌표번호 | c : Cell의 약어, p : pixel의 약어 |
cpx | 셀의 좌표번호 | c : Cell의 약어, p : pixel의 약어 |
curr_x | 키보드등으로 움직이는 현재의 셀 | |
current | 어떤 객체 든지 현재에 활성화된것을 뜻함 | |
data | 한번에 전체적인 자료를 돌려주는 것 | 결과값으로 어떤 종류의 자료를 돌려줄 때 |
data_로_시작_되는_단어 | 주로 사용되는 자료들을 쉽게 읽어올수있도록 만든것 | |
datetime | 1900.1.1을 1초로 시작, date 클래스의 isoformat() - YYYY-MM-DD의 형태를 말합니다 | |
delete | 쓰거나 인쇄한 값을 삭제하는것 이것으로 통일하자 | |
delete_x | 값만 지우는것 | 혼돈되는 부분이 있음 |
delete_xline | 라인을 삭제하는 것 | |
delete_xvalue | x의 값만 삭제 하는 것 | |
Dic | 자료의 형태가 dic형태로 줄때는 맨뒤에 dic을 붙임 | |
dic_list | 전체적으로 사전형식인데, 내부적인 자료는 리스트형인 것 | |
dicdb | 사전형으로 된 database형 | dic : dictinary |
draw | 선을 그을 때 사용 | 라인에 대한 색과 형태등을 설정할때 |
dt_obj | datetime 객체 | |
dx | 두지점간의 차이 | D : Difference 또는 Delta |
dx, dy | 포인트간의 길이, 두지점간의 차이 | D : Difference 또는 Delta |
empty_y | 이것보다는 empty_yline으로 표기하는 것이 더 좋아보임 ??? | |
enum | 사전형식으로 되어있으며, 엑셀이나 워드에서 사용하는 공유의 번호 | |
filename | 파일 이름 | |
filepath | 파일까지의 경로 | |
fill | 빈곳을 채워넣는 것 | |
find | 우연히 발견된다는 의미로, 이것은 search로 바꾼다 사용 X | |
font_dic | 어떤 전체적인 한 객체의 속성을 정하는 것, 어떤 여러가지 속성을 정의해야만 사용 가능한것들에 대한 것을 정의 | dic : dictinary |
fullpath | 화일이름을 포함한 전체경로 fullpath = filepath + filename | |
get | 입력값이 없는 조건에서의 자료를 갖고올때 | read를 제외한 모든 자료를 갖고올 때 |
gx, gy | graphic기준의 x, y 좌표 (graphic_x) pixel의 px와 혼돈이 될수있어서 px를 사용하지 않음 | g : graphic |
hsl | 색을 표현하는 기법중 하나, HSL(hue, saturation, lightness, 즉 색상, 채도, 밝기) | |
ilist, indexlist | index를 기준으로 번호를 가진 list | |
index | 0부터 시작하는 번호의 변수용, i로 표시 | 접두어를 i로 사용 |
index, ix, iy | 0부터 시작되는 연속되는 번호를 사용할 때 | i는 index의 의미 |
input | 내부적으로 어떤 값을 넣을 때 | 결과 값이 없음 |
input_data | 어떤 자료형태가 올지 모를 때, 기본으로는 1차원리스트이다 | |
Input_dic | 사전형식일 때 | |
Input_list1d | 1차원 리스트가 입력값일 때 | |
Input_list2d | 2차원 리스트가 입력값일 때 | |
input_pm | “+++”, “---”의 형태를 사용하는 것 | plus, minus의 뜻 |
input_text | ||
input_tf | 입력값이 true, false인 경우 | tf : true false의 뜻 |
Input_value | 숫자형의 자료가 입력될때 | 1개의 값이 입력변수로 올때 |
Insert | 내가 원하는위치에 넣는 것 | 새로운 뭔가를 만드는 것 |
ixiy, ix, iy | 0부터시작되는 번호 | i는 index의 의미, O 부터시작 |
ixyxy | ixyxy = [1,4,7,9] = [1:7][4:9] | i는 index의 의미, O 부터시작 |
iylist | [0,2,6,8] 이런 식으로 된 것 | i는 index의 의미, O 부터시작 |
jfsql | jfinder형식으로 사용되는 정규 표현식 | |
l1d | 1차원리스트의 자료 | 보통 코드의 안쪽의 반복형을 사용할때 쓰임 |
l2d | 2차원리스트의 자료 | |
level1 | 0~1까지의 값변화로 조정하는 것 | |
level100 | 0~100까지의 값변화로 조정하는 것 | |
list | 문자들이 구분되어져서 따로 형태를 가질수있는 영역의 구분 | |
list_1d, list1d | 1차원리스트의 자료 | |
list_2d, list2d | 2차원리스트의 자료 | |
listdb, list_db | list의 형태이지만, col의 자료가 별도의 리스트형으로 되어있는, 2차원형태의 자료 | [[y_name-1, y_name_2.....],[[a1, a2, a3...], [b1, b2, b3...], ]] |
make | 새롭게 뭔가를 만들때, new보다는 더 사용하기 편함 | New |
many_yline | 여러 개의 y라인을 추가한다면, 어떻게 해야 하나 | 연속적이지 않는 y를 뜻함 |
move | 자료를 다른 객체나 위치로 옮기는 것 | |
mx, my, mpx | 마우스의 좌표 | M : mouse의 약어 |
nea | n개의 | |
new | 새로운것을 만드는 개념 | make |
no, num | 1부터 시작되는 연속되는 번호를 사용할 때 | num을 권장 |
no_list, nolist yy | 연속된 y의 시작과 끝 [1,4], [1:5] iyy : 연속된 y의 시작과 끝 [0,4], [0:5] | |
nth | n번째의 , 0부터 시작하는 것 | |
obj | object의 짧은 사용법 | Obj : object |
object | 객체를 뜻하는 것 | |
paint | 어떤 영역에, 색을 칠하는것 | |
paragraph | 줄바꿈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자료 | |
parameter_item | 1개의 파라미터 | |
parameter_item_option_set | 한개의 parameter_item 의 option 사항들 | |
parameter_item_set | all parameter element, parameter id의 모든 파라미타 들 | |
parameter_name | 각 action에 연결된 parameter의 번호, parameter id와 같은 개념 | |
pccs_style | 일본색체연구서가 발표한 12가지 색으로 구분한것, 톤에 대한 12가지 구분 | 연한, 밝은회색, 회색, 어두운회색, 옅은, 부드러운, 탁한, 어두운, 밝은, 강한, 짙은, 선명한 |
pick | 여러개중에서 하나를 갖고올 때 | |
plusminus100, pm100 | ++, --, 70등의 값이 들어오면 변화를 시켜주는 것 | |
pwh | 넓이, 높이의 길이를 픽셀단위로 나타낸것 | P : pixel의 약어 |
px | 그림을 그리고 싶은 좌표, 커서의 픽셀 좌표 | P : pixel의 약어 |
pxpy | 포인터로된 좌표의 위치 | P : pixel의 약어 |
range_object | 객체를 넣어줄 때 object를 붙인다 | 어떤 객체를 의미할때는 obj를 붙인다 |
Read | 입력값이 있으면서 어떤 자료를 갖고올 때 사용 | 눈에 보이는 값을 읽을 때 (화면에 보이는 것) |
remove | 값이외의 객체등의것을 제거하는것 사용 X | |
remove_x | x열을 없애는 것 | |
replace | 전체또는 일부를 변경 전체내용중에서 일부를 변경 | |
rgb | [빨강의 농도, 초록의 농도, 파랑의 농도], | |
rgbint | rgb값을 정수로 변경한것 | |
scolor | 색을 blu와 같이 3글자의 영문 시작 색이름으로 하고, 그 농도를 숫자나 +-기호로 변경하는것, 예 (blu++, blu55) | scolor형식의 색이름 |
search | 결과물이 1개가아닌 리스트나 듀플의 형태로, 다른 정보까지 있을때 | 찾고자하는것을 찾는것 |
sel_x | 셀렉션된 영역 | |
select | 어떤 영역을 선택할 때 | |
selection | 선택된 영역 | |
sentence | 표현이 완결된 단위, 그 자체로 하나의 서술된 문장이 되는 것 | |
set | 입력값이 특별한것없이 자료를 설정하는 것 | 설정값을 변경할 때 |
space_px | 기준이되는 것 | |
split | 자료를 분리하는 것 | |
sqlite_memory_db | 메모리에 저장이되는 database, 최종적으로 저장은 따로 해야 한다 | |
step | 일정 간격의 자료를 적용할때 | |
step_by_aaa | aaa에 대한 일정 간격마다 | |
stx1, sty1, stx3, sty3 | 현재 선택된 table의 셀번호 (select) | 워드에서 여러테이블을 다룰 때 |
tbl_x | 테이블의 x | |
timestamp | utc기준으로 1970년 1월1일부터 1초마다 숫자를 더해서 사용 | |
to | 현재 자료는 바뀌지 않고, 결과만 돌려주는 것 | |
tx, ty | 테이블의 셀좌표 (table_x), cell의 번호에 대한것, table에서 몇번째 셀이라는 쯧 | T : table의 약어 |
tx0, ty0, tx1, ty1 | 그리드안의 영역 (table_x) | T : table의 약어 |
utc | 1970.1.1을 1초로 시작 | |
win_x | 윈도우의 x | |
Write | 눈에 보이는 것, 기존값을 대치하면서 쓰기 | 눈에 보이는 값을 쓸 때 |
x, y | cell의 기본좌표, X: 가로줄번호, Y: 세로줄 번호 | 컴퓨터안의 x, y (마우스의 위치와 같은 px의 위치) |
x_name | 가로줄의 이름이나 제목, xx_name와 동일하나 1개라는 의미로 사용 | |
x_y | 1,2의 형태 (2개의 자료) | 함수에서 사용하는 의미 |
x0, y0, x1, y1 | 컴퓨터안에서의 영역 | |
xx | [x, x2] | |
xx, yy | [2:3]과 같은 형태, 코드 내부적으로사용할 때 | 연속된 x나 y |
xx_name | ||
xxline | 한글과같이 해석적으로 복수인것이니 기본적으로 복수를 나타내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는다, xxline 은 그상태 그대로 복수의 의미이다 | xx와같은의미이나 이것이 더 좋아보일때는 이것을 사용 |
xxlist | 세로의 자료를 1부터 시작하는 개념으로 리스트를 만든것 | |
xxyy | [1,3], [5,7] 이런것이나 [1,3,5,7] | |
xy | 하나의 셀에대한 좌표, [1,2]와 같은 형식의 자료 | [x,y], [1,2]의 형태 (1개의 리스트 자료) |
xy_list | xy형식의 리스트 | [[1,2], [3,4], …] |
xyrange, xy_range | 이런형태로 일반적인 리스트나 xylist형태인 도 사용가능한 방법 ['2~3':'4~5'], ['1~2'],['2~3':'~5'] | xylist의 개념 |
xywh | 셀의번호를 기준으로 가로의갯수, 세로의 개수 개념으로 사용하는것 | 시작좌표와 길이와 넓이로 나타낸 것 |
xyxy | 셀의 영역에 대한 좌표, [1,1,5,5]같은 형식 | xyxy = [1,4,7,9] = [0:7][3:9] 와 같다는 것이다 |
x와 xline | x와 xline을 같이 사용해도 좋을 듯 하다 | |
y_data | 한줄의 자료, 2차원의 자료임, y_data2d와 동일 | |
y_index, iy, yindex | iy와 동일 | |
y_line, yline | 제목과 값이있는 자료의 형태, [y_name, y_data]와 동일 | |
y_name, yname | 세로줄의 이름이나 제목, yy_name와 동일 동일하나 1개라는 의미로 사용 | |
y_num, ynum | 거의 사용하지 않을 것임 | |
y_title | 각 세로열의 제목 | |
ylist | y여러개 | [1,3,7,9] 이런 식으로 된 것 |
ytitle | 컬럼의 제목이름 | |
ytitle_list | 컬럼제목의 리스트 | |
ytype | 컬럼 y의 자료형식 | |
yy | [y, y2] | |
yy_name, yyname | ||
yylist | 자료형태가 yy인것의 리스트집합형 | [1,3], [5,7]]과 같은 형태 |
yytitle | ["제목1~제목4"] | |
yy와 yyline | yy로 변경 | |
글 | 커서 뒤의 글자 | |
단어 | (단어+ 뒤의공백)까지를 포함한것 | |
커서 | 캐롯의 의미 | |
커서의 위치 | 선택영역에서, 제일 앞부분의 글자위치 | |
한 주의 시작 | '월'요일 부터 |